#1 <담론>을 읽으며...(2)
1부까지 읽으며 공자,노자,맹자 등 중국 철학자들의 얘기를 주로 읽었다.
저자가 추천한 3권 논어 , 자본론 , 노자를 꼭 읽어보리라 마음 먹었다.
또한 계속 읽어나가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정말 문장이 간결하고 섬세하며 정확하다.
이 책에서 배워야 할 것이 인문과 됨됨이 뿐 아니라 문장력도 배우고 싶다.
이제 감명 받았던 부분을 좀 써내보려고 한다.
P.148쪽 장자의 반기계론에서 외모가 아닌 자기 정체성을 중시해야한다는 내용이 있다. 사람의 정체성은 노동에서 비롯된다. 이 내용에 굉장히 동감했다. 칸트의 행복 3대 원칙에도 "열심히 일 할 것"이라는 것이 첫번째 원칙이다.
부모님이 일을 안하시면 불안하고 힘들어하시는 것 같다. 엄마한테도 일 그만하고 여행 좀 다니시라고 말씀드린다. 연세도 많이 있으시니 형한테 맡기고 좀 쉬셔도 될텐데 이 글을 읽으면서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엇다. 하지만 이번 달에 처음으로 싱가폴에 갔을 때 외국에서 처음 해보시는 것들이 많아 괜히 죄송했다. 부모님들이 해놓은 것들을 나만 누리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었다.
장자의 반기계론에서 나는 부모님의 노동에 대한 불가피성을 생각했다. 전체적인 부분에서 보면 전혀 다른 얘기일 수 있지만 한 부분만 보면 내가 느낌 감성이니 뭐 틀리면 어떤가.
P.168쪽 묵자의 일화를 소개하는 부분이 있다. "묵자가 여각에서 비를 피하려 했지만 여각 무지기가 들여 주지 않았다고 합니다. 전쟁으로 공을 세운 사람은 세상이 알아주지만 평화를 위해서 일하는 사람은 알아주지 않는다는 말을 덧붙이고 있습니다."
이 부분을 읽고 옛날이나 지금이나 다를 게 없다고 생각했다. 정보보호학과 재학생으로서 보안에 대한 뉴스나 글들을 자주 접한다. 해커나 프로그래머들은 굉장히 능력을 알아주지만 보안 전문가에 대한 능력은 일반 사람들이 접하기 힘들다. 그래서인지 보안 전문가들의 근무 환경 또한 열악하다. 뚫리면 욕 먹고 잘해도 티가 안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커들은 잘하면 해킹을 해서 실력을 보여주고 프로그래머들은 잘하면 성능 향상으로 실력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 보안 관련 웃기는 일화들이 많다. 어느 보안 전문가가 대기업 서버의 취약점을 발견 했는데 감사를 받지 못하고 오히려 고소를 당했다는 일화가 있다. 외국에는 버그바운티라는 제도가 있어 취약점을 발견해주면 오히려 감사와 사례금을 준다고 들었다.
아직 내가 보안에 대해 아직 아는 것들이 없어서 일 수도 있지만 초짜 대학생이 보는 실태는 이렇다.
P.188쪽 한비자를 정리하는 글이 있다. "교사불여졸성, 한비자를 잘 나타내는 한비자 자신의 글이기도 합나디. 교묘한 거짓은 졸렬한 성실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화려한 언설과 치장으로 꾸민다고 하더라도 어리석고 졸렬하지만 성실하고 진성성 있는 사람을 이기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정말 감명 깊어서 쓰고 싶었다. 후세에 누군가에 의해 쓰여진 교사불여졸성이 아닌 자신이 자신을 잘 나타내는 교사불여졸성이라니 뜻도 와닿지만 한비자의 통찰력 또한 본받고 싶다. 자신을 제 3자가 보듯이 객관적으로 보기 쉽지 않다. 대부분이 자기가 살아갈 구멍은 만들고 객관적으로 비판한다. 한비자의 냉정한 통찰력을 배우고 싶다.
교사불여졸성이라는 뜻이 굉장히 좋다. 하지만 0.1초로 사람을 판단하는 요즘 세상에서 언설과 치장을 버릴 수는 없을 것이다. 강연을 해도 말로 끌어당기는 언설을 갖고 있는 강연자를 좋아하고 취업 면접에도 깔끔하게 치장한 사람을 뽑기 때문이다.
나는 뛰어난 언설과 멋있게 치장한 사람도 아니기에 졸렬하지만 성실하고 진성성 있는 사람이 되야할 것 같아 이 글을 여기에 남긴다.
P.200쪽 1부를 마무리하는 부분이다. "빅토르 위고가 레미제라블에서 한 말입니다. "땅을 갈고 파헤치면 모든 땅들은 상처받고 아파한다. 그 씨앗이 싹을 틔우고 꽃 피우는 것은 훨씬 뒤의 일이다.""
세계사 수업을 들을 때 우리는 축복일수도 저주일수도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라는 교수님의 말이 떠올랐다. 그리스 시대에 민주주의 방식을 따랐다고 했지만 지금은 민주주의의 자유와 인권이 보장되는 실험의 시대에 살고 있다. 그리스보다 제약이 덜하고 평등한 삶이지만 이 시대에 언제 끝날지 모르겠다. 영화에서 보듯이 나중에는 로봇에 의해 계급화 되어 다시 옛날로 돌아갈 수도 있다. 우리가 열매일 수도 있고 갈리는 땅일수도 있겠다. 재밌는 세상이다.
감명 깊은 부분들은 많았지만 가장 좋았던 것만 추려서 써봤다. 정리해서 내 생각도 같이 쓰니 책을 곱씹는 것 같아 뿌듯하다.
저자가 추천한 3권 논어 , 자본론 , 노자를 꼭 읽어보리라 마음 먹었다.
또한 계속 읽어나가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정말 문장이 간결하고 섬세하며 정확하다.
이 책에서 배워야 할 것이 인문과 됨됨이 뿐 아니라 문장력도 배우고 싶다.
이제 감명 받았던 부분을 좀 써내보려고 한다.
P.148쪽 장자의 반기계론에서 외모가 아닌 자기 정체성을 중시해야한다는 내용이 있다. 사람의 정체성은 노동에서 비롯된다. 이 내용에 굉장히 동감했다. 칸트의 행복 3대 원칙에도 "열심히 일 할 것"이라는 것이 첫번째 원칙이다.
부모님이 일을 안하시면 불안하고 힘들어하시는 것 같다. 엄마한테도 일 그만하고 여행 좀 다니시라고 말씀드린다. 연세도 많이 있으시니 형한테 맡기고 좀 쉬셔도 될텐데 이 글을 읽으면서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엇다. 하지만 이번 달에 처음으로 싱가폴에 갔을 때 외국에서 처음 해보시는 것들이 많아 괜히 죄송했다. 부모님들이 해놓은 것들을 나만 누리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었다.
장자의 반기계론에서 나는 부모님의 노동에 대한 불가피성을 생각했다. 전체적인 부분에서 보면 전혀 다른 얘기일 수 있지만 한 부분만 보면 내가 느낌 감성이니 뭐 틀리면 어떤가.
P.168쪽 묵자의 일화를 소개하는 부분이 있다. "묵자가 여각에서 비를 피하려 했지만 여각 무지기가 들여 주지 않았다고 합니다. 전쟁으로 공을 세운 사람은 세상이 알아주지만 평화를 위해서 일하는 사람은 알아주지 않는다는 말을 덧붙이고 있습니다."
이 부분을 읽고 옛날이나 지금이나 다를 게 없다고 생각했다. 정보보호학과 재학생으로서 보안에 대한 뉴스나 글들을 자주 접한다. 해커나 프로그래머들은 굉장히 능력을 알아주지만 보안 전문가에 대한 능력은 일반 사람들이 접하기 힘들다. 그래서인지 보안 전문가들의 근무 환경 또한 열악하다. 뚫리면 욕 먹고 잘해도 티가 안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커들은 잘하면 해킹을 해서 실력을 보여주고 프로그래머들은 잘하면 성능 향상으로 실력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 보안 관련 웃기는 일화들이 많다. 어느 보안 전문가가 대기업 서버의 취약점을 발견 했는데 감사를 받지 못하고 오히려 고소를 당했다는 일화가 있다. 외국에는 버그바운티라는 제도가 있어 취약점을 발견해주면 오히려 감사와 사례금을 준다고 들었다.
아직 내가 보안에 대해 아직 아는 것들이 없어서 일 수도 있지만 초짜 대학생이 보는 실태는 이렇다.
P.188쪽 한비자를 정리하는 글이 있다. "교사불여졸성, 한비자를 잘 나타내는 한비자 자신의 글이기도 합나디. 교묘한 거짓은 졸렬한 성실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화려한 언설과 치장으로 꾸민다고 하더라도 어리석고 졸렬하지만 성실하고 진성성 있는 사람을 이기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정말 감명 깊어서 쓰고 싶었다. 후세에 누군가에 의해 쓰여진 교사불여졸성이 아닌 자신이 자신을 잘 나타내는 교사불여졸성이라니 뜻도 와닿지만 한비자의 통찰력 또한 본받고 싶다. 자신을 제 3자가 보듯이 객관적으로 보기 쉽지 않다. 대부분이 자기가 살아갈 구멍은 만들고 객관적으로 비판한다. 한비자의 냉정한 통찰력을 배우고 싶다.
교사불여졸성이라는 뜻이 굉장히 좋다. 하지만 0.1초로 사람을 판단하는 요즘 세상에서 언설과 치장을 버릴 수는 없을 것이다. 강연을 해도 말로 끌어당기는 언설을 갖고 있는 강연자를 좋아하고 취업 면접에도 깔끔하게 치장한 사람을 뽑기 때문이다.
나는 뛰어난 언설과 멋있게 치장한 사람도 아니기에 졸렬하지만 성실하고 진성성 있는 사람이 되야할 것 같아 이 글을 여기에 남긴다.
P.200쪽 1부를 마무리하는 부분이다. "빅토르 위고가 레미제라블에서 한 말입니다. "땅을 갈고 파헤치면 모든 땅들은 상처받고 아파한다. 그 씨앗이 싹을 틔우고 꽃 피우는 것은 훨씬 뒤의 일이다.""
세계사 수업을 들을 때 우리는 축복일수도 저주일수도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라는 교수님의 말이 떠올랐다. 그리스 시대에 민주주의 방식을 따랐다고 했지만 지금은 민주주의의 자유와 인권이 보장되는 실험의 시대에 살고 있다. 그리스보다 제약이 덜하고 평등한 삶이지만 이 시대에 언제 끝날지 모르겠다. 영화에서 보듯이 나중에는 로봇에 의해 계급화 되어 다시 옛날로 돌아갈 수도 있다. 우리가 열매일 수도 있고 갈리는 땅일수도 있겠다. 재밌는 세상이다.
감명 깊은 부분들은 많았지만 가장 좋았던 것만 추려서 써봤다. 정리해서 내 생각도 같이 쓰니 책을 곱씹는 것 같아 뿌듯하다.
댓글
댓글 쓰기